베르테르 효과
사회적으로 존경받거나 유명한 사람의 죽음(특히 자살)에 대한 소식을 접했을 때, 심리적 동조로 인해 모방 자살 시도 등이 잇따르는 사회 현상
모방 자살 혹은 자살 전염이라고 불리기도 하는 베르테르 효과는 각종 매체의 발달로 인해 정보가 전파되는 속도가 빨라지고 정보에 대한 접근이 쉬워지면서 더욱 큰 사회 문제로 자리잡기도 했습니다.
특히나 자신이 좋아하는 스타, 인플루언서 등 유명인에 대한 선망을 갖고 있을 때, 죽음에 대한 소식에 노출된다면 큰 충격에 빠지고 실제로 뒤따라 자살하는 선례 또한 찾아볼 수 있었습니다.
안타까운 사실은 해당 유명인이 자살한 장소가 언론에 노출된 경우, 해당 장소가 '자살 명소'라고 불리기도 한다는 사실입니다.
다만, 선망하는 유명인의 자살이 직접적인 원인이라고는 보기 어려운 부분도 있는데요. 이는 원래부터 자살 시도 등의 생각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유명인의 죽음에 대한 소식을 접했을 때, 이 부분이 일종의 트리거(방아쇠) 역할을 하여 실제 자살을 실행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베르테르 효과가 나타나는 원인
사람은 사람과의 관계 내에서 주변 사람들의 행동을 모방하는 경향이 나타납니다. 이러한 모방 행위는 특히나 유명인들에게 자주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모방에 의한 감정적 연결, 동질감 등에 의해 베르테르 효과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더불어 정신적으로 충분한 성장이 이루어지지 않은 청소년에게서 이러한 베르테로 효과가 더욱 쉽게 나타날 수 있으니 이를 유의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베르테르 효과 실제사례
러시아의 전설적인 가수라고 불리는 빅토르 초이의 사망 이후 5명의 팬이 투신자살 하는 사례가 있었으며, 장국영의 자살 소식이 전해진 후 6명의 팬의 잇따른 자살, 그리고 오카다 유키코와 같은 인기 아이돌의 자살 이후 청소년들의 자살 등등이 대표적인 베르테르 효과의 대표적 사례라고 할 수 있습니다.
관련정보 알아보기 (클릭)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충치 관리하는 여러가지 방법 (33) | 2024.02.28 |
---|---|
구취 유발하는 편도결석 빼는 방법 (23) | 2024.02.23 |
당뇨병 원인, 증상, 합병증까지 (57) | 2024.02.22 |
고혈압 어떠한 질환일까? (기준, 원인, 예방법) (74) | 2024.02.20 |
우울증의 원인과 증상, 치료방법까지 (6) | 2024.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