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

5월 20일부터 의료기관 방문 시 '이 것' 필수! (의료기관 본인 확인 의무화)

infou 2024. 5. 1. 23:39
728x90

 

어느덧 5월이 되었습니다.

 

5월 20일부터 의료기관 방문 시 신분증을 필수로 지참해야 하는 '의료기관 본인 확인 의무화'가 시행된다는 사실, 알고계셨나요?

 

오늘은 의료기관 본인 확인 의무화 정책이 왜 시행되는지, 이를 통해 어떤 이점이 있는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의료기관 본인 확인 의무화?

의료기관 본인 확인 의무화 정책은 병원, 한의원, 치과, 안과 등 모든 의료기관을 방문할 때 신분증 또는 건강보험증 등을 통해 본인 확인을 의무화 하는 정책입니다.

 

해당 정책이 시행되기 이전에는 진료를 받기위해서 주민등록번호/성명 등을 원무과 등에 알리기만 하면 진료를 받을 수 있었는데요.

 

이를 악용하여 건강보험 자격이 없는 사람이, 타인의 명의를 이용해 의료혜택을 받는 도용/대여 등의 부정수급 사례가 있었기에 이를 예방하기 위해 시행됩니다.

 

❌ 본인확인 절차를 거치지 않는다면..

만약 의료기관 본인 확인 의무화 정책이 시행되는 5월 20일 이후, 본인확인 절차를 거치지 않고 진료를 할 경우 의료기관은 백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내야 한다는데요.

 

과태료로 인한 의료기관의 불이익을 피하고, 부정수급 등의 사례를 방지하기 위해서라도 해당 정책에 협조할 필요가 있습니다.

 

✅ 이 분들은 신분증이 없더라도..

- 만 19세 미만 미성년자

- 6개월 이내 요양급여를 받은 재진 환자

- 타 의료기관으로부터 회송을 받은 환자

- 처방전에 따라 약국 약제를 지급받는 사람

- 응급환자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제2조 1호)

- 보건복지부 장관이 정한 거동이 현저히 불편한 환자

 

위에 해당하시는 분들이라면 신분증이 없이, 주민등록번호 확인을 통해서 진료가 가능한 점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 본인 확인을 위한 신분증 종류

- 건강보험증

- 주민등록증

- 운전면허증

- 여권

- 장애인 등록증

- 외국인 등록증

- 모바일 신분증

- 국가보훈 등록증

 

만약 실물 신분증이 없다면 '모바일 건강보험증' 설치를 통해 본인 확인 및 진료가 가능합니다.

이에 관련한 정보(설치 경로 등)가 궁금하시다면, 아래 관련 정보를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알아보기👇

의료기관 본인 확인 의무화